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1세대 1주택 아파트 재산세 계산법, 얼마나 내야 할까?

    1세대 1주택 아파트 재산세 계산법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는 분들이라면 매년 여름마다 날아오는 ‘재산세 고지서’에 눈이 가실 겁니다.
    특히 1세대 1주택자는 정부의 세금 감면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정확한 계산이 중요하죠.

    2025년 기준으로 달라진 세율, 공정시장가액비율, 감면 조건까지 반영한 재산세 계산법을 지금부터 자세히 설명드립니다.

    1세대 1주택 기준은?

    ‘1세대 1주택’이란, 세대 구성원 전체가 국내에 오직 한 채의 주택만 보유하고 있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는 양도세 비과세, 종부세 감면, 재산세 감면 등의 기준이 되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세대원 중 다른 사람 명의 주택이 있거나 분양권, 오피스텔 등이 있을 경우 적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재산세 계산 방식의 전체 흐름

    1. ① 공시가격 × 공정시장가액비율 = 과세표준
    2. ② 과세표준 × 세율 = 산출세액
    3. ③ 산출세액 – 세액공제 = 최종 납부세액

    여기서 핵심은 공시가격과 과세표준, 감면 여부입니다.

    2025년 공정시장가액비율 및 세율

    구간 세율
    과세표준 6천만 원 이하 0.1%
    6천만 원 ~ 1억5천만 원 0.15%
    1억5천만 원 초과 0.25%

    ※ 공정시장가액비율은 2025년에도 60%로 유지됩니다.

    📌 계산 예시

    공시가격 3억 원 아파트 (1세대 1주택, 감면대상)

    • 공시가격: 300,000,000원
    • 과세표준 = 3억 × 60% = 1억8천만 원
    • 세율 = 0.25%
    • 산출세액 = 1억8천만 원 × 0.25% = 45만 원
    • 1세대 1주택 감면 30% 적용 시 → 45만 × 70% = 31.5만 원

    1세대 1주택 감면 조건 요약

    • 공시가격 9억 원 이하
    • 1세대 1주택자일 것
    • 실거주 요건 없음 (보유만 해도 감면 가능)

    자주 묻는 질문 (Q&A)

    Q1. 공시가격은 어디서 확인하나요?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Q2. 1세대 1주택인데 감면을 따로 신청해야 하나요?

    아닙니다. 대부분 지자체가 자동 감면 처리합니다. 다만, 신규 전입 등 특별 상황은 확인 필요합니다.

    Q3. 재산세 외에 도시지역분이나 지방교육세도 있나요?

    네. 기본 재산세 외에 도시지역분(0.14%~)과 교육세(20%)가 추가됩니다.

    Q4. 분양권은 주택 수에 포함되나요?

    실거주 기준에서는 제외되나, 1세대 1주택 여부 판단에서는 포함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Q5. 주택이 공동명의일 경우에도 감면 받을 수 있나요?

    네. 공동명의라도 1세대 1주택 요건만 충족하면 감면 적용됩니다.